리튬 이온 배터리 리튬 보충 기술은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의 첫 번째 충전 과정에서 유기 전해질은 흑연과 같은 양극 표면에서 환원 및 분해되어 고체 전해질 상 계면 (SEI) 필름을 형성하여 양극에서 많은 양의 리튬을 영구적으로 소비하여 첫 번째 사이클의 낮은 쿨롱 효율 (ICE)을 초래하여 리튬 이온 배터리의 용량과 에너지 밀도를 감소시킵니다. 또한 분리로 인한 양극 재료 입자의 비활성화 및 리튬 금속의 비가역적 증착과 같은 공정이 있으며, 이 모든 공정은 양극에서 활성 리튬을 소비하여 배터리의 용량과 에너지 밀도를 감소시킵니다.
리튬 이온화 기술에는 음극 리튬 보충과 양극 리튬 보충이 있습니다. 음극 리튬 보충은 SEI 성장으로 인한 용량 손실을 보정하기 위해 음극에 활성 리튬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음극 리튬 보충의 주요 방법에는 물리적 혼합, 진공 권선 리튬 도금, 화학적 리튬화, 자체 방전 메커니즘 리튬화 및 전기 화학적 리튬화가 포함됩니다.
낙사우는 진공 코팅 및 자동화 설계, 롤투롤 사이클링을 활용하여 동박에 원스텝 리튬 도금을 실현하고, 리튬 도금 균일성과 접착력이 우수하여 이후 배터리 사용 시 안정성과 우수한 사이클링 성능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너비 | 300mm / 600mm | |
리튬 도금 범위 | 양쪽 1~10um | |
도금 속도 | 1.8um/s | |
선례 | 2m/min 라인 속도에서 리튬 도금층 두께 5μm |
가전제품, 전기 자동차, 스마트 그리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현재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성능 요구 사항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극 매칭, 액체 전해질 구성 및 배터리 구조의 한계로 인해 기존의 리튬 이온 배터리는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동시에 개선하기 어려웠으며, 이는 위 분야의 발전을 어느 정도 제한했습니다. 고체 전해질의 높은 화학적 및 전기 화학적 안정성, 높은 열 안정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 덕분에 전고체 리튬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높은 안전성을 고려하여 고에너지 양극과 리튬 금속 양극의 매칭을 실현할 것으로 예상되며 새로운 전기 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의 뜨거운 연구 방향이되었습니다.
전고체 리튬 배터리 R&D 진행 상황 #
현재 전고체 리튬 배터리의 리튬 증착 부위와 형태는 제어가 쉽지 않으며, 순수 리튬 금속 전극의 대량의 변형이 아직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나스닥은 진공 원스텝 방식을 채택하여 복합 리튬 전극을 제조하고 고밀도화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진 리튬 도금 층을 구성하여 고체 리튬 배터리의 연구 개발 진행을 돕는 고속 및 고효율 방식입니다.

준비 및 구조 특성화 #
리튬 금속 양극 #
다단계 구조의 리튬-금속 복합 음극은 전고체 리튬-금속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서 더 높은 비용량으로 뛰어난 전기화학적 성능을 보여줍니다. 90%의 용량 유지 값으로 장기적인 사이클링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